폐하 전하 저하 각하 휘하 뜻과 차이점 – 왕실 호칭 정리!

사극을 보다 보면 “폐하~”, “전하~”, “저하~”, “각하~”, “휘하~” 같은 호칭이 자주 등장하죠.
비슷비슷하게 들리지만 실제로는 상대의 지위나 신분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하는 말이에요.
오늘은 이 다섯 가지 호칭의 뜻과 서로의 차이점을 한눈에 정리해볼게요!

폐하 전하 저하 각하 휘하

폐하 부터 각 호칭의 기본 의미 정리

호칭사용 대상의미와 특징
폐하 (陛下)황제·국왕최고의 존칭. 현재는 외국 황제나 역사 속 왕에게 사용
전하 (殿下)왕세자·왕폐하보단 낮지만 매우 존귀한 호칭
저하 (邸下)왕자·공주·귀족전하보다 한 단계 낮은 귀족·황족에게
각하 (閣下)장관·대통령 등 고위직현대 행정/외교에서 사용. 예: “외교부 장관 각하”
휘하 (麾下)장군·지휘관군대, 조직 내 지휘 체계에서 부하가 상관에게 사용

💬 한 문장으로 쉽게 구분하기

  • 폐하: “황제나 왕에게 드리는 가장 극존칭”
  • 전하: “왕이나 왕세자 등 높은 지위의 귀족에게”
  • 저하: “왕족이지만 직계는 아닌 왕자, 공주 등에게”
  • 각하: “장관, 대사, 대통령 등 고위 공무원에게”
  • 휘하: “지휘관의 소속 조직을 가리킬 때 (예: 휘하 병력)”

📺 예시로 보는 사용 장면

상황호칭 예시설명
사극에서 왕 등장“폐하를 뵙습니다”조선 시대 임금에게
왕세자가 명령할 때“전하의 뜻이옵니다”왕세자나 고위 왕족
공주를 부를 때“저하, 행차시옵니다”공주나 부왕의 서자 등
외교 문서에서“대통령 각하께”대통령, 장관에게 공식적 표현
군대에서“○○장군 휘하 부대”지휘관의 부하 병력을 가리킴

🧠 각하 vs 휘하, 많이 헷갈려요!

  • 각하는 “높은 지위의 사람을 부를 때”
    • 예: “장관 각하, 지시를 내려주시지요.”
  • 휘하는 “그 사람의 소속을 말할 때”
    • 예: “장군 휘하에 5개 부대가 배속되어 있습니다.”

→ 둘 다 존칭처럼 들리지만, 각하는 인물 자체를 높이고, 휘하는 조직의 관계를 말하는 표현입니다.


🔍 호칭 높낮이 정리 (높은 순)

  1. 폐하 (황제, 국왕)
  2. 전하 (왕세자, 왕자)
  3. 저하 (공주, 왕족)
  4. 각하 (현대 고위 공직자)
  5. 휘하 (상관의 조직 관계 지칭)

📣 요즘은 어디서 쓰일까?

  • 폐하·전하·저하: 주로 역사, 사극, 문학에서 등장 (현재는 사용 안 함)
  • 각하: 대통령, 장관, 대사 등 공식 직함에 사용 가능하지만, 최근엔 다소 낡은 표현으로 여겨져 줄어드는 추세
  • 휘하: 군사 조직에서 여전히 쓰이며, 회사나 조직 내 존칭으로도 간혹 사용

✅ 한 줄 요약

호칭대상지금도 쓰이나요?
폐하황제·국왕❌ (역사 속 표현)
전하왕세자❌ (사극 등에서만)
저하귀족·공주❌ (역사적 용례)
각하장관·대통령⭕ 일부 외교문서 등
휘하군 지휘관⭕ 군사/조직에서 사용

이제는 드라마나 문서에서 이 호칭들이 나올 때 누가 누구를 부르는 표현인지 확실히 구분하실 수 있겠죠?
왕은 폐하, 왕세자는 전하, 귀족은 저하, 장관은 각하, 장군은 휘하!

위로 스크롤